20살 8월에 군대에 가게 된 나에게 있어서 지금까지의 여정은 말 그대로 [실패]의 여정이었습니다. 주변에서 말하는 흔히 실패자의 길대로 주변에서 추천하는 것과 그저 돈을 쓰기 위해 벌어왔던 그러했던 삶들. 심지어 학생 때는 공부를 뒷전으로 게임으로 돈을 벌어보자 하면서 게임에만 시간을 쏟아부었던 어린 시절까지 해서 지금까지 단 하나조차 확실하게 이루어진 성공이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지금 그 실패와 즐겨보는 자기 개발서와 동기부여 영상들, 또한 돈과 자본주의의 지식들을 넓히면서 점점 느끼는 3가지를 여러분에게도 도움이 되고자 한번 적어보려 합니다.
1. 어릴수록 실천해라
조던 패터슨 교수님의 영상 중에 최근에 봤던 굉장히 저에게 와닿았던 영상이 있었습니다. [old infant]라는 그 단어.. 그 말은 바로 저를 뜻하고 있었습니다. 20대에 바보여도 상관없던 그 사람이 이제는 30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과연 과거 그대로 공부도 내려놓고 지금처럼 주어진 숟가락만으로 살아가는 늙은 영아[old infant]라는 그 굴레를 벗어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누군가가 그런 식으로 늙어가는 순간에 어떤 사람은 돈에 관한 지식으로 돈을 벌어갈 거고, 누군가는 거대기업에서 워라벨을 키워 자신의 가격을 높이는 사람이 있습니다. 공부하시죠. 어렵다면 하루 10분 책 읽기부터라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것이 제가 블로그, 자기 계발을 하면서 느끼는 제1단계입니다.
2. 인생 건설
저는 후회와 안도가 동시에 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어릴 적 꿈이었던 [성우]를 포기했던 것입니다. 우리 모두가 꿈을 가지고 있지만 의외로 건설하지는 않습니다. 10대에 가장 많이 보는 게임과 쇼핑만 생각해도 계획과 건설을 합니다. 무엇을 할지, 무엇을 살지, 어떻게 할지, 어디가 싼 지 등 여러 가지가 있죠. 하지만 10대에 꿈꾸는 막연한 꿈은 건설된 꿈이 아닌 그저 막연한 꿈입니다. 그것은 꿈이 아닌 바람이죠. 차곡차곡 건설된 꿈, 일, 돈 등 여러가지 건설된 자신의 자산, 목표는 쉽게 무너지지 않습니다.
3. 일단 행동해라
어른들이 흔히 가장 많이 하는 말이 있습니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 그 말이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정답도 아니죠. 사람은 완벽할 수 없습니다. 저 또한 게임과 만화를 좋아하며 아직까지도 즐기는 흔히 말하는 덕후이죠.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어제보다 오늘 더 발전하는 캐릭터들입니다. 처음에 기본기를 익히고 필살기를 익히지만 그다음 시리즈가 나오면 그 필살기가 기본기가 되죠. 현재 시대는 그런 시대입니다. 기본기만 계속하는 과거에 갇힌 사람은 앞으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최근에 본 영상에서 행동을 결정하는 지식의 량은 20~80%면 충분하다고 합니다. 선생님도 배우는 사람이고 교육자 또한 학생들을 가르치며 배웁니다. 즉 행동하면서 배우는 패턴인 것이죠.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제가 예전에 즐겨하던 말이 있습니다. 기회(chance)는 변화(change)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4. 마치며
저에게는 3가지의 취미가 있죠. 덕후적인 것( 만화, 카페, 게임 등), 자기 계발, 마지막으로 범죄심리학을 즐겨봅니다. 세상이 넓음을 이해하고 자본주의 사회의 여러 가지 기능이 있으며 제가 아는 지식을 전파하고자 시작하였습니다. 이 카테고리는 제가 지금까지 이해하고 도전하는 부분을 알려드림으로써 도움이 되고자 하는 콘텐츠며 흔히 말하는 동기부여가 되었으면 합니다. 여러분도 저와 함께 도전하시는 분들이면 좋겠습니다.
'공부하며일하는N잡러 > 동기부여와자기개발에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 우리는 프리랜서가 되어야 합니다. (0) | 2021.09.18 |
---|---|
우리는 왜 MZ세대라고 불리는가? (0) | 2021.09.15 |